-
회연서원 (檜淵書院)-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2. 12. 4. 23:37
회연서원 (檜淵書院)-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1호
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1호 명칭 회연서원 (檜淵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1 동 지정일 1974.12.10 소재지 경북 성주군 수륜면 동강한강로 9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청주정씨문목공파종중 설명
한강 정구(鄭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조선 인조 5년(1627)에 제자들이 세운 회연초당이 있던 자리에 짓고 회연서원이라 이름하였다. 그 후 숙종 16년(1690)에 임금으로부터 ‘회연(檜淵)’이라는 이름과 토지·노비를 하사 받았다.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서원 중에서도 중심이 되는 서원 중의 하나로 선생의 문집판 『심경발휘』가 보관되어 있고 현판은 한석봉이 쓴 것이다.
대경재·명의재·양현청 등의 건물이 있었으나 양현청은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고, 해마다 2차례 제사를 지내고 있다.정구(鄭逑)
1543(중종 38)∼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철산군수 윤증(胤曾)의 종손으로,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응상(應祥)이고, 아버지는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충좌위(忠佐衛) 부사맹(副司孟) 사중(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환(煥)의 딸이다.
6대조 총(摠)과 그 아우인 탁(擢)이 개국공신에 책봉되는 등 본래 공신가문으로 대체로 한양에서 살았으나 부친이 성주이씨와 혼인하면서 성주에 정착하였다. 둘째 형인 곤수(崑壽)는 문과에 급제해 병·형조 참판, 의정부좌찬성 등 주요 관직을 지낸 관리였다.5세에 이미 신동으로 불렸으며 10세에 ≪대학≫과 ≪논어≫의 대의를 이해하였다. 13세인 1555년 성주향교 교수인 오건(吳健)에게 역학을 배웠는데 건(乾)·곤(坤) 두 괘(卦)만 배우고 나머지 괘는 유추해 스스로 깨달았다 한다.
1563년에 이황(李滉)을, 1566년에 조식(曺植)을 찾아 뵙고 스승으로 삼았으며, 그 무렵 성운(成運)을 찾아 뵙기도 하였다. 1563년 향시(鄕試)에 합격했으나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1573년(선조 6) 김우옹(金宇顒)이 추천해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는 등 여러 번 관직에 임명되어도 사양하다가 1580년 비로소 창녕현감(昌寧縣監)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1584년 동복현감(同福縣監)을 거쳐, 이듬해 교정청낭청(校正廳郎廳)으로 ≪소학언해≫·≪사서언해≫ 등의 교정에 참여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통천군수(通川郡守)로 재직하면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다. 1593년 선조의 형인 하릉군(河陵君)의 시체를 찾아 장사를 지낸 공으로 당상관으로 승진한 뒤 우부승지, 장례원판결사·강원도관찰사·형조참판 등을 지냈다. 전체적으로 중앙 관직보다는 지방의 수령으로 더 많이 활약하였다.1603년 ≪남명집 南冥集≫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정인홍(鄭仁弘)이 이황과 이언적(李彦迪)을 배척하자 그와 절교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임해군(臨海君)의 역모사건이 있자 관련자를 모두 용서하라는 소를 올리고 대사헌직을 그만두고 귀향하였다.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구하려 했으며, 1617년 폐모론(廢母論) 때에도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인(庶人)으로 쫓아내지 말 것을 주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만년에 정치적으로 남인으로 처신하지만 서경덕(徐敬德)·조식 문인들과 관계를 끊지 않았기 때문에 사상적으로는 영남 남인과 다른 요소들이 많았으며, 뒤에 근기남인 실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활동사항]
문인으로는 서사원(徐思遠)·송원기(宋遠器)·손처눌(孫處訥)·한준겸(韓浚謙)·문위(文緯)·장흥효(張興孝)·이윤우(李潤雨)·허목(許穆)·황종해(黃宗海) 등이 있다.
학문은 성리학과 예학뿐만 아니라 제자백가·역사·산수(算數)·병진(兵陳)·의약(醫藥)·복서(卜筮)·풍수지리 등 여러 방면에 걸쳐 박학하였다.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어 1573년≪가례집람보주 家禮輯覽補註≫를 저술한 이래 ≪오선생예설분류 五先生禮說分類≫·≪심의제조법 深衣製造法≫·≪예기상례분류 禮記喪禮分類≫·≪오복연혁도 五福沿革圖≫ 등 많은 예서를 편찬했으며, 이황의 예에 관한 서신을 모은 ≪퇴계상제례문답 退溪喪祭禮問答≫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그의 예학은 국가례(國家禮)와 사가례(私家禮)를 하나의 체계 속에 종합적으로 정리하려는 주자의 총체적인 예학을 추구하였다. 동시에 왕례(王禮)와 사례(士禮)의 차별성을 강조해 17세기 예학의 한 경향인 왕사부동례(王士不同禮)의 단초를 열었다.
이는 ≪의례경전통해 儀禮經傳通解≫의 체재를 모범으로 하고 사마광(司馬光)·장재(張載)·정호(程顥)·정이(程頤)·주자 등의 예설을 바탕으로 해 가(家)·향(鄕)·방국(邦國)·왕조례(王朝禮)를 복원한 ≪오선생예설분류≫에 잘 나타나 있다.
읍지에도 관심이 많아 1580년≪창산지 昌山誌≫를 편찬한 이래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지역마다 거의 예외 없이 읍지를 편찬해 ≪동복지 同福志≫·≪관동지 關東志≫ 등 7종의 읍지를 간행하였다.
특히 ≪영가지 永嘉志≫·≪평양지 平壤志≫ 등의 편찬에도 관여해 후대의 읍지들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함주지 咸州志≫ 하나 뿐이다. 읍지 편찬의 목적은 생민(生民)도 있었지만 풍속의 순화와 교육, 즉 교화에 주안점이 있었다.
성리설(性理說)은 이황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은 부분으로 경전 가운데 특히 ≪심경 心經≫을 중시하였다. 외출할 때에도 손에서 떼지 않았으며 아침·저녁으로 읽고, 제자를 가르치는 주된 교재였다 한다.
1603년 정민정(程敏政)의 ≪심경부주 心經附註≫를 비판한 이황의 ≪심경후론 心經後論≫을 계승해 ≪심경발휘 心經發揮≫를 저술했는데, 육구연(陸九淵)의 입장을 반영한 정민정의 설을 모두 삭제하고 이정(二程, 정이, 정호)과 주자의 설을 새롭게 재구성한 것이다.
≪심경≫은 경(敬)을 요체로 하는 성리학의 수양방법을 잘 제시한 책으로 16세기 후반 이후 영남 이황학파의 하나의 학문적 특색으로 자리잡았다. 이외에 역시 이황의 저술인 ≪주자서절요 朱子書節要≫를 분류해 ≪개정주자서절요총목 改定朱子書節要總目≫을 편찬했으며, ≪성현풍범 聖賢風範≫·≪수사언인록 洙泗言仁錄≫·≪염락갱장록 濂洛羹墻錄≫ 등의 성리서를 저술하였다.
역사서로는 주자의 ≪자치통감강목 資治通鑑綱目≫의 영향을 받으면서 연표형식으로 중국사와 한국사를 정리해 뒤에 나타나는 정통론과 강목체 사서와의 매개 역할을 한 ≪역대기년 歷代紀年≫과 역대 인물들의 정리와 평가의 성격을 지닌 ≪고금충모 古今忠謨≫·≪치란제요 治亂提要≫ 등을 저술하였다.
또한 문학서로서는 ≪고금회수 古今會粹≫·≪주자시분류 朱子詩分類≫ 등을 편찬했으며, 의학서로는 눈병에 대한 처방을 담은 ≪의안집방 醫眼集方≫과 집에 소장한 의학서에서 출산과 육아에 대한 내용을 뽑아 정리한 ≪광사속집 廣嗣續集≫ 등이 있다.
다양한 분야에 걸친 방대한 저술은 이황학파의 주자를 기반으로 한 학문적 전통과 서경덕·조식학파의 박학(博學)의 전통을 계승한 결과였다. 근기남인 실학파의 탈주자학적 사상의 뿌리 가운데 적지 않은 부분이 서경덕·조식에 있었는데 그는 이 한 부분을 전달해주는 교량 역할을 했던 것이다.
[상훈과 추모]
인조반정 직후인 1623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1625년 문목(文穆)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성주회연서원(檜淵書院)·천곡서원(川谷書院), 칠곡의 사양서원(泗陽書院), 창녕의 관산서원(冠山書院), 충주의 운곡서원(雲谷書院), 현풍의 도동서원(道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문화재 > 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천서당 (晴川書堂)-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1호 (0) 2012.12.07 성주이씨영정 (星州李氏影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5호 (0) 2012.12.05 아도화상사적비및도리사불량답시주질비 (阿度和尙事蹟碑및桃李寺佛糧畓施主秩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91호 (0) 2012.11.19 선산객사 (善山客舍)-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1호 (0) 2012.11.17 장육사대웅전 (莊陸寺大雄殿)-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0) 201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