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해가천암수바위 (南海加川암수바위)-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1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4. 3. 2. 12:23
남해가천암수바위 (南海加川암수바위)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13호
남해가천암수바위 (南海加川암수바위) 종목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13호 명칭
남해가천암수바위 (南海加川암수바위)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
2기 지정일
1990.01.16 소재지
경남 남해군 남면 홍현리 849 시대
소유
가천마을 관리
남해군 설명
해안에서 북쪽으로 100m 거리에 자리한 가천마을에는 가장 아래쪽 밭 모서리에 한 쌍의 암수바위가 5m 간격으로 서 있다. 이곳에서는 ‘미륵불’이라 하여 각각 암미륵, 숫미륵이라 부르기도 한다.
암미륵은 높이 3.9m, 둘레길이 2.3m의 크기로, 여인이 잉태하여 만삭이 된 모습을 한 채 비스듬히 누워있고, 숫미륵은 높이 5.8m, 둘레길이 2.5m 크기로, 남성의 성기 형상으로 서 있다. 아이를 갖지 못한 여인들이 아무도 모르게 숫미륵 밑에서 기도를 드리면 득남한다 하여 이 고장의 여인들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에서도 많이 다녀간다고 한다.
조선 영조 27년(1751) 남해 현령 조광진의 꿈에 나타난 노인의 계시에 의해 이 바위를 발견하였다고 전한다. 매년 음력 10월 23일 마을의 태평과 농사의 풍요를 비는 동제를 지내고 있는데, 처음 잡는 고기를 바위에 걸어 놓으면 고기도 많이 잡히고 사고도 방지된다고 한다.
성기 모양으로 돌을 깎아 자식을 많이 갖는 것과 농사의 풍요로움을 빌던 대상이 마을전체의 수호신으로 바뀌고, 다시 불교의 미륵불로 이어진 민간신앙의 한 예를 보여준다.남해가천암수바위 (南海加川암수바위) '문화재 > 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봉동리배씨고가 (固城鳳東里裴氏古家)-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16호 (0) 2014.05.13 고성 석마리 석마 (固城 石馬里 石馬)-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1호 (0) 2014.05.12 예천 상금곡동 사괴당고택-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9호 (0) 2014.03.01 양동대성헌 (良洞對聖軒)-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4호 (0) 2013.11.11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거북흉배 (溫陽民俗博物館 所藏 龜文胸背)-충청남도 속문화재 제30호 (0) 201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