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월연대 일원 密陽 月淵臺 一圓 명승 월연대는 조선 중종 때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낸 월연 이태(月淵 李迨)가 1520년 추화산 동편 기슭, 밀양강과 단장천이 만나는 절벽 위에 지은 별장이다. 그는 한 해 전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면서 개혁을 주장하던 선비들이 무더기로 죽거나 파직당하는 화를 입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월연대와 쌍경당(雙鏡堂)을 짓고 은거했다. 조선시대 정자가 대개 단독으로 지어진 데 비해 월연대 일원은 담양 소쇄원(瀟灑園, 명승)처럼 여러 건물이 집합적으로 들어선 독특한 양식을 보인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오른쪽이 월연대, 왼쪽이 쌍경당 영역이다. ‘월연’과 ‘쌍경’은 달과 강물이 어우러지는 경관과 관련되어 붙여진 것으로, 계곡 사이의 다리로 두 영역이 이어진다. 정자는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타 없어졌으나 1757년 후손들이 쌍경당을 고쳐 짓고 1866년 월연대를 복원했다. 1956년에는 이태의 맏아들인 이원량(李元亮)을 추모하는 건물인 제헌(霽軒)을 새로 지었다. 정자의 각 건물은 풍경이 뛰어난 자연 지형과 환경을 최대한 살리려는 조선 사대부들의 자연관, 전통 조경 양식을 보여준다. 이 일대의 아름다운 풍광을 ‘월연대 12경’이라 부른다. 한편 월연대는 가장 높은 언덕에 남향으로, 쌍경당은 중간 높이 지대에 동향으로, 제헌은 가장 낮은 곳에 남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처럼 각기 다른 지대에서 다른 방향으로 지어져 눈길을 끈다.
국가유산 설명
밀양 월연대(月淵臺) 일원은 조선 중종 때 문신 월연(月淵) 이태(李迨, 1483∼1536)가 관직에서 물러나 쌍경당(雙鏡堂)과 월연대(月淵臺)를 조성한 데서 유래한다. 창건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나, 숙종 23년(1697) 쌍경당(雙鏡堂)을 중수하고, 고종 3년(1866) 이태의 11대손 이종술(李鍾述)이 월연대를 중수하였다.
밀양 월연대 일원은 월연정에서 바라 본 강변의 풍경이 빼어나며, 바위에 새겨진 글씨와 월연대 12경 등 다양한 문화경관적 요소를 지닌 명승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