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 혼돈에 빠지다.나의 식물이야기 2022. 9. 24. 15:57
국표에서 둥근마를 검색하면 정명2 둥근마,열대둥근마1종이다.
재배식물 정명 Dioscorea bulbifera L. 둥근마 2022/05/31 재배식물 이명 Dioscorea sativa L. 둥근마 2003/11/30 재배식물 정명 Dioscorea alata L. 열대둥근마 2017/12/18 1.둥근마 일반적인 재배방법
2.수확량 4배! 신품종 둥근마로 소득창출하는 법
3.열대 둥근마 종근 만드는 방법과 심는 시기는?
https://youtu.be/YCysCPid__s?list=TLPQMjQwOTIwMjIaduJQsrqbyw
4.둥근마 드디어 수확
https://youtu.be/5e5Zxuiuw9c?list=TLPQMjQwOTIwMjIaduJQsrqbyw
5.자투리 3평, 둥근마 심어 실컷 따먹는 법
https://youtu.be/PlquUPyL0IY?list=TLPQMjQwOTIwMjIaduJQsrqbyw
6.둥근마종자
https://youtu.be/E10dP_RaShg?list=TLPQMjQwOTIwMjIaduJQsrqbyw
7.둥근마 수확시 관리요령 5가지
https://youtu.be/Mz_APBEpgQo?list=TLPQMjQwOTIwMjIaduJQsrqbyw
8.https://youtu.be/bjIzkcgwhWI
1.열매마재배법 수확시기 먹는법 보관방법 까지
2.열매마 재배법, 열매마 순 정리하기, 하늘마 키우기
3.[59회] 귀한 '돌멩이'로 부자가 된 '농부 도령' '충남 천안시 옥도령 부자농부'
4.하늘에서 마가 주렁주렁 열매마 심기 작업
5.열매마 효능 먹는 법 재배법 - 우주마 Air potato 하늘마 宇宙芋 karaino
7.하늘마 귀농 성공기 귀농귀촌 길라잡이 (작물 선택)
정명 Dioscorea bulbifera L.
- [출처]Sp. Pl. 2 : 1033 (1753)
이명 1. [이명] Dioscorea sativa L. 국명 둥근마 (추천명)쓴감자마 외국명 [영문명]Air potato[일본명]ニガカシュウ (추천명)[북한명]쓴감자마 (추천명) 비고 - 재배식물 Dioscorea bulbifera (commonly known as the air potato, air yam, bitter yam, cheeky yam, potato yam, aerial yam, and parsnip yam) is a species of true yam in the yam family, Dioscoreaceae. It is native to Africa, Asia and northern Australia. It is widely cultivated and has become naturalized in many regions (Latin America, the West Indies,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and various oceanic islands).
It is also known as the up-yam in Nigerian Pidgin English, since the plant is cultivated more for its bulbils than for its tubers.
Dioscorea bulbifera - Wikipedia
정명 Dioscorea bulbifera L.
- [출처]Sp. Pl. 2 : 1033 (1753)
이명 1. [이명] Dioscorea sativa L. 국명 둥근마 (추천명)쓴감자마 외국명 [영문명]Air potato[일본명]ニガカシュウ (추천명)[북한명]쓴감자마 (추천명) 비고 - 재배식물 The page "Dioscorea sativa L." does not exist. You can create a draft and submit it for review, but consider checking the search results below to see whether the topic is already covered.
Dioscorea sativa L. - Search results - Wikipedia
Dioscorea villosa
Dioscorea villosa is a species of twining tuberous vine which is native to eastern North America. It is commonly known as wild yam, colic root, rheumatism root, devil's bones, and fourleaf yam,. It is common and widespread in a range stretching from Texas and Florida north to Minnesota, Ontario and Massachusetts.
Dioscorea villosa flower petal color is commonly known to be green to brown, or white. Lengths of the flower petals range from .5 mm to 2 mm. The flowers tend to grow out of the axil; this is the point at which a branch or leaf attaches to the main stem. There is only one flower present on the inflorescence. The fruit of the plant is a capsule that splits and releases the seeds within to then begin the dispersal process The fruit of Dioscorea villosa ranges in size from 10–30 mm. The flower does not produce aerial bulblets.
Sp. Pl. 2: 1033. 1753 [1 May 1753]
This name is a synonym of Dioscorea villosa L. by Dioscoreaceae.
The record derives from WCSP which reports it as a synonym of Dioscorea villosa L. (record 240879)
Dioscorea sativa L. (worldfloraonline.org)
정명 Dioscorea alata L. 출처 포함 출처 포함 이명 국명 열대둥근마 (추천명) 외국명 비고 Dioscorea alata, also known as purple yam, ube (/ˈubɛ/, /ˈubeɪ/), or greater yam, among many other names, is a species of yam (a tuber). The tubers are usually a vivid violet-purple to bright lavender in color (hence the common name), but some range in color from cream to plain white. It is sometimes confused with taro and the Okinawa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v. Ayamurasaki), although D. alata is also grown in Okinawa, where it is known as beniimo (紅芋). With its origins in the Asian tropics, D. alata has been known to humans since ancient times.
Dioscorea ala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ple crops in Austronesian cultures. It is one of various species of yams that were domesticated and cultivated independently within Island Southeast Asia and New Guinea for their starchy tubers, including the round yam (Dioscorea bulbifera), ubi gadong (Dioscorea hispida), lesser yam (Dioscorea esculenta), Pacific yam (Dioscorea nummularia), fiveleaf yam (Dioscorea pentaphylla), and pencil yam (Dioscorea transversa). Among these, D. alata and D. esculenta were the only ones regularly cultivated and eaten, while the rest were usually considered as famine food due to their higher levels of the toxin dioscorine which requires that they be prepared correctly before consumption. D. alata is also cultivated more than D. esculenta, largely because of its much larger tubers.
D. alata and D. esculenta were the most suitable for long transport in Austronesian ships and were carried through all or most of the range of the Austronesian expansion. D. alata in particular were introduced into the Pacific Islands and New Zealand. They were also carried by Austronesian voyagers into Madagascar and the Comoros.
The center of origin of purple yam is unknown, but archaeological evidence suggests that it was exploited in Island Southeast Asia and New Guinea before the Austronesian expansion. Purple yam is believed to be a true cultigen, only known from its cultivated forms. The vast majority of cultivars are sterile, which restricts its introduction into islands purely by human agency, making them a good indicator of human movement. Some authors have proposed, without evidence, an origin in Mainland Southeast Asia, but it shows the greatest phenotypic variability in the Philippines and New Guinea.
Based on archaeological evidence of early farming plots and plant remains in the Kuk Swamp site, authors have suggested that it was first domesticated in the highlands of New Guinea from around 10,000 BP and spread into Island Southeast Asia via the Lapita culture at around c. 4,000 BP, along with D. nummularia and D. bulbifera. In turn, D. esculenta is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by the Lapita culture into New Guinea. There is also evidence of an agricultural revolution during this period brought by innovations from contact with Austronesian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wet cultivation. However, much older remains identified as being probably D. alata have also been recovered from the Niah Caves of Borneo (Late Pleistocene, <40,000 BP) and the Ille Cave of Palawan (c. 11,000 BP), along with remains of the toxic ubi gadong (D. hispida) which requires processing before it can be edible. Although it doesn't prove cultivation, it does show that humans already had the knowledge to exploit starchy plants and that D. alata were native to Island Southeast Asia. Furthermore, it opens the question on whether D. alata is a true species or cultivated much older than believed.
Purple yam remains an important crop in Southeast Asia, particularly in the Philippines where the vividly purple variety is widely used in various traditional and modern desserts. It also remains important in Melanesia, where it is also grown for ceremonial purposes tied to the size of the tubers at harvest time. Its importance in eastern Polynesia and New Zealand, however, has waned after the introduction of other crops, most notably the sweet potato.
1.정명 이명 Dioscorea bulbifera L.,Dioscorea sativa L.을 외국명 Air potato(영명)으로 기록한 것은 분명 땅에서 캐는 데 땅 도 공기라 보는가?
재배식물 이명 Dioscorea sativa L. 둥근마 2003/11/30 이명 처리된 Dioscorea sativa L.을 구글에서 검색하면
The page "Dioscorea sativa L." does not exist. You can create a draft and submit it for review, but consider checking the search results below to see whether the topic is already covered.["Dioscorea sativa L." 페이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초안을 작성하여 검토를 위해 제출할 수 있지만, 주제가 이미 다루어져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Dioscorea sativa L. - Search results - Wikipedia
Dioscorea sativa L은 없으니 Dioscorea villosa를 보라.
Dioscorea villosa is a species of twining tuberous vine which is native to eastern North America. It is commonly known as wild yam, colic root, rheumatism root, devil's bones, and fourleaf yam,. It is common and widespread in a range stretching from Texas and Florida north to Minnesota, Ontario and Massachusetts.
Dioscorea villosa flower petal color is commonly known to be green to brown, or white. Lengths of the flower petals range from .5 mm to 2 mm. The flowers tend to grow out of the axil; this is the point at which a branch or leaf attaches to the main stem. There is only one flower present on the inflorescence. The fruit of the plant is a capsule that splits and releases the seeds within to then begin the dispersal process The fruit of Dioscorea villosa ranges in size from 10–30 mm. The flower does not produce aerial bulblets.[Dioscorea villosa는 북미 동부 출신의 [휘감기는 덩굴식물]의 종입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야생 참마, 배앓이 뿌리, 류마티스 뿌리, 악마의 뼈 및 네 잎 참마로 알려져 있습니다. 텍사스와 플로리다 북쪽에서 미네소타, 온타리오, 매사추세츠까지 뻗어있는 범위에서 흔하고 널리 퍼져 있습니다. Dioscorea villosa 꽃잎 색깔은 일반적으로 녹색에서 갈색 또는 흰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꽃잎의 길이는 0.5mm에서 2mm입니다. 꽃은 겨드랑이에서 자라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가지 또는 잎이 주요 줄기에 붙는 지점입니다. 꽃차례에는 한 송이의 꽃만이 존재한다. 식물의 열매는 씨앗을 분리하고 방출하여 분산 과정을 시작하는 캡슐입니다. Dioscorea villosa의 열매는 크기가 10 x 30 mm입니다. 꽃은 공기 구근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Dioscorea Villosa - 위키피디아
2.Dioscorea sativa L은 Dioscorea villosa로 대체하며 공기(하늘)구근은 없다.
wild yam, colic root, rheumatism root로 부르는 것으로 보아 뿌리를 식용으로 한다.
열대둥근마를 국명으로 하는 Dioscorea alata L.
Dioscorea alata는 보라색 참마, ube (/ ub ⁇ /, / ube /) 또는 더 큰 참마로도 알려져 있으며, 다른 많은 이름들 중에서도 참마 (결절)의 종입니다. 괴경은 일반적으로 선명한 보라색에서 밝은 라벤더 색상 (따라서 일반적인 이름)이지만 크림색에서 일반 흰색까지 색상이 다양합니다. 때로는 타로와 오키나와 고구마 (Ipomoea batatas cv. 아야무라사키), 비록 D. 알라타도 오키나와에서 재배되고 있는데, 이곳은 베니모( 紅芋)로 알려져 있다. 아시아 열대 지방에서 유래한 D. alata는 고대부터 인간에게 알려져 왔습니다. Dioscorea alata는 오스트로 네시아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주요 작물 중 하나입니다. 둥근 참마(Dioscorea bulbifera), ubi gadong(Dioscorea hispida), 작은 참마(Dioscorea esculenta), Pacific yam(Dioscorea numularia), 5leaf yam(Dioscorea penta), 연필 참마(Dioscorea Transversa). 이 중 D. alata와 D. esculenta는 정기적으로 재배되고 먹는 유일한 것이었고 나머지는 소비되기 전에 올바르게 준비해야하는 독소 다이오 스코린 수치가 높기 때문에 기근 식품으로 간주되었습니다. D. alata는 또한 D. esculenta보다 더 많이 재배되는데, 이는 주로 훨씬 더 큰 괴경 때문이다. D. alata와 D. esculenta는 오스트로네시아 선박의 장거리 수송에 가장 적합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 확장 범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통해 운반되었습니다. 특히 D. alata는 태평양 제도와 뉴질랜드에 도입되었다. 그들은 또한 오스트로 네시아 항해자들에 의해 마다가스카르와 코모로로 옮겨졌습니다.
[베니모(紅芋)
Beniimo is a purple yam known for its striking color, natural sweetness, and superfood status. For this hand pie, the sweet beniimo filling is balanced by the buttery pie crust. Hiroshima-based maker Hanamaru Creation incorporates beniimo from Okinawa, which is renowned for its sweet yams]
보라색 참마의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고 학적 증거에 따르면 오스트로 네시아 확장 이전에 섬 동남아시아와 뉴기니에서 착취 당했다. 보라색 참마는 재배된 형태로만 알려진 진정한 품종으로 여겨집니다. 재배 품종의 대다수는 무균 상태이며, 이는 순전히 인간 기관에 의해 섬으로의 도입을 제한하여 인간 운동의 좋은 지표가됩니다. 일부 저자들은 증거없이 본토 동남아시아의 기원을 제안했지만 필리핀과 뉴기니에서 가장 큰 표현형 변동성을 보여줍니다. Kuk Swamp 사이트의 초기 농경지와 식물 유적에 대한 고고 학적 증거에 근거하여 저자들은 뉴기니의 고지대에서 약 10,000 BP에서 처음으로 길 들여졌으며 약 4,000 BP의 Lapita 문화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퍼졌다. 차례로, D. esculenta는 Lapita 문화에 의해 뉴기니로 도입된 것으로 믿어집니다. 이 기간 동안 습식 재배의 발전을 포함하여 오스트로 네시아 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혁신으로 인한 농업 혁명의 증거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D. alata로 확인 된 훨씬 오래된 유적은 보르네오의 Niah Caves (후기 홍적세, <40,000 BP)와 팔라완의 Ille Cave (c. 11,000 BP)에서 독성 ubi gadong (D. hispida) 식용이되기 전에 가공이 필요합니다. 비록 그것이 재배를 증명하지는 않지만, 그것은 인간이 이미 녹말 식물을 이용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D. alata가 동남아시아 섬 출신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D. alata가 진정한 종인지 아니면 믿을 수 있는 것보다 훨씬 오래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을 엽니 다. 보라색 참마는 동남아시아, 특히 생생한 보라색 품종이 다양한 전통 및 현대 디저트에 널리 사용되는 필리핀에서 중요한 작물로 남아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멜라네시아에서 중요하게 남아 있으며, 수확기에 괴경의 크기에 묶인 의식 목적으로 재배됩니다. 그러나 동부 폴리네시아와 뉴질랜드에서의 중요성은 다른 작물, 특히 고구마가 도입된 후 약화되었습니다.
Purple Yam - Ube - Dioscorea alata - Subtropical Food Forest Permaculture Plants
주아가 달리는 마로 식용으로 쓰는 것은 땅에서 캔다.
PURPLE YAM 💜 / UBE / Dioscorea alata planting and tasting
역시 땅에서 캔다.
Preparing Yams for the Table (Dioscorea alata)
이 역시 땅에서
Lisbon Yams: A Well-Shaped Cultivar of Dioscorea alata
이것도 땅에서
Dioscorea cultivation /How To Propagate True Yams /Dioscorea alata 'agri blogs'
Dioscorea alata L.(열대둥근마)를 검색하면
검색 결과를 보면 확인된다.
| Center for Aquatic and Invasive Plants | University of Florida, IFAS (ufl.edu)
'나의 식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각지의 희귀식물 (0) 2023.09.06 Yucca속은 아직 정리되지 않은 속이다. (0) 2023.04.14 Narilatha flower,Liyathabara Mala,Nareepol (0) 2022.08.22 Zelkova (0) 2022.07.12 모과나무? (0)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