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동탁은잔
    문화재/내가 본 기타문화재 2021. 2. 17. 09:56

    동탁은잔

    銅托銀盞

     

    시대:고대/삼국/백제
    성격:잔
    유형:유물
    제작시기:삼국시대(백제)
    분야:역사/선사문화

    요약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합금제 받침과 은제 잔 및 뚜껑의 세 부위를 따로 만들어 조합한 은잔.

     

    개설

    1971년 발굴에서 왕비의 머리맡에서 확인되었다. 무령왕과 왕비의 사망시점이 분명하기 때문에, 무령왕릉의 동탁은잔은 중국대륙과 일본열도의 것뿐만 아니라 한반도에서 출토된 청동제 및 도제 탁잔의 변천과정을 살피는 기준작품이다. 이밖에 표면에 새긴 다양한 그림은 백제의 사상과 미술을 추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내용

    받침은 아래위에 굽과 잔 꽂이를 둔 동합금의 주물제품으로 잘 다듬은 표면에 그림을 새겼다. 밑면은 부식되어 자세하지 않으나, 윗면은 선조기법으로 새긴 무늬가 가득하다. 가장자리에 톱니무늬를 두르고 그 안쪽에 꽃을 들고 있는 인면조(人面鳥), 용, 사슴, 새, 미상의 동물, 연꽃과 나무를 넣었다. 지름 14.7㎝ 높이 3.1㎝로 납작하지만 넓은 굽을 두어 안정적이며, 잔 꽂이가 접시모양의 잔 받침의 가장자리보다 살짝 높아 균형미를 지녔다.

    은잔은 반구형에 가깝게 만든 주물제품이며, 바닥에 따로 만든 원통형 굽을 땜으로 붙였다. 주물 이후에 가질하여 표면을 다듬었으며, 겉면을 3단으로 나누어 선조기법으로 그림을 가득 새겼다. 하단에는 굽을 감싸며 활짝 핀 8엽의 연꽃을 두고, 입술 아래의 상단에는 인동당초문 띠를 둘렀으며, 중간에는 세 마리의 용이 줄지어 있다. 높이 5.6㎝, 입 지름 8.6㎝로 적당한 크기이며, 그대로는 좁은 굽 때문에 불안정해 보일지라도 받침에 끼워두면 안정적이다.

    은제 잔 뚜껑은 흡사 삿갓모양이며, 은으로 만든 본체 및 꼭지와 금으로 만든 꼭지받침을 조립하였다. 뚜껑 본체에 꼭지받침을 올리고, 꼭지의 촉을 위에서 꼭지받침과 본체에 관통시켜 안쪽에서 두들겨 펴 리벳처럼 고정시켰다. 뚜껑 본체와 꼭지는 주물제품이며 가질하여 표면을 다듬었다. 표면의 그림과 조각은 가장자리에서 꼭지까지 위로 올라가며 4단으로 구성되었다. 선조기법으로 새긴 그림은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된다. 하단에는 산봉우리로 4분할한 구획을 두고 그 사이사이에 새와 사슴 그리고 나무를 넣었다. 상단에는 활짝 핀 8엽의 연꽃을 두었다. 그 위에 꼭지받침인 만개한 8엽의 연꽃 투조판이 올라가고, 중앙에 꼭지인 8엽의 연꽃봉우리가 솟아있다. 은빛과 금빛을 대비시키고 선각에서 환조로 피어나도록 한 뛰어난 조형성이 돋보인다.

    동탁은잔 - Daum 백과

    무령왕릉실) [은잔(동탁은잔)]/ 왕비 머리부.. : 네이버블로그 (naver.com)에서 화면 복사

     

    문화재로 지정해야 한다.

    지정되지 않은 것이 이상하다.

    '문화재 > 내가 본 기타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동 제기  (0) 2021.02.17
    무령왕 금동신발  (0) 2021.02.17
    청자항아리  (0) 2021.02.17
    갑사부도군  (0) 2021.02.14
    진천 보탑사  (0) 2021.02.1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