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릉
-
World Cultural Heritage-파주 삼릉 (坡州 三陵)-영릉-사적 제205호-36문화재/내가 본 조선 왕릉(사적) 2013. 7. 10. 18:59
World Cultural Heritage파주 삼릉(坡州 三陵) -영릉-사적 제205호-36 World Cultural Heritage Tomb of King Jinjong and his wife Queen Hyosun-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 추존 진종(1719~1728)과 추존 진종비 효순왕후(1715~1751)의 무덤이다. 조선왕조 계보 1대 태조 이성계 1392~1398 나라이름을 조선으로 정하고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는 등 조선 조 개창 2대 정종개풍 후릉(厚陵) 이방과 1398~1400 1357(공민왕 6)∼1419(세종 1). 조선의 제2대 왕. 재위 1398∼1400.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경(曔)이고, 초명은 방과(芳果)이다. 자는 광원(光遠..
-
파주 삼릉 (坡州 三陵)-사적 제205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7. 10. 16:28
파주 삼릉 (坡州 三陵)-사적 제205호 사적 제205호 사적 제205호 종목사적 제205호 명칭파주 삼릉 (坡州 三陵) 분류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조선시대 수량1,323,105㎡지정일1970.05.26소재지경기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 (봉일천리) 시대조선시대소유.관리국유,파주삼릉관리소설명파주삼릉에는 공릉(장순왕후)과 순릉(공혜왕후), 영릉(효장세자와 효순왕후)이 군락으로 모여 있다. 공릉은 조선 8대 예종의 원비인 장순왕후(1445∼1461)의 무덤이다. 장순왕후는 한명회의 딸로 1460년에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 죽었다. 처음에 왕후릉이 아닌 세자빈 무덤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병풍석, 난간석, 망주석은 없다. 다만 양석과 둘레돌을 둘러 무덤을 보호하게 하였다. ..
-
구영릉석물 (舊英陵石物)-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1. 28. 15:39
구영릉석물 (舊英陵石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호 명칭 구영릉석물 (舊英陵石物) 분류 유물 / 일반조각/ 능묘조각/ 기타 수량 13기 지정일 1980.06.11 소재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산1-157 세종대왕기념관 경내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설명 구 영릉은 세종과 그의 비인 소헌왕후 심씨의 릉으로 태종의 릉인 헌릉(獻陵)의 서쪽 산등성이, 즉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산13번지 일대에 자리하고 있었다. 세종 28년(1446) 소헌왕후가 세상을 떠나면서 조성되기 시작하였는데, 세종 32년(1450) 세종이 서실에 합장되고 문종 2년(1452) 세종대왕신도비가 건립되면서 그 공역(工役)이 완성단계에 이르렀다. 그런데 예종 원년(14..